맨위로가기

이진 (고려)

"오늘의AI위키"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.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
1. 본문

이진(李瑱, 1244년 ~ 1321년)은 고려 시대의 문신입니다. 본관은 경주(慶州)이며, 초명은 이방연(李芳衍), 자는 온고(溫古), 호는 동암(東菴)입니다. 삼한공신(三韓功臣) 이금서(李金書)의 13대손이며, 이제현(李齊賢)의 아버지입니다.

주요 관직:


  • 검교첨의정승(檢校僉議政丞)
  • 첨의찬성사(僉議贊成事)
  • 상의회의도감사(商議會議都監事)
  • 정당문학(政堂文學)
  • 전법판서(典法判書)
  • 밀직부사(密直副使)
  • 시독학사(侍讀學士)
  • 사림학사(詞林學士)


생애 및 업적:

  • 1264년(원종 5) 국자감시(國子監試)에 장원 급제했습니다.
  • 1280년(충렬왕 6) 문신친시방(文臣親試榜)에서 동생 이세기와 함께 각각 2위, 3위에 올라 충렬왕이 황패(黃牌)를 내렸습니다.
  • 우사의대부, 전법판서, 밀직부사, 정당문학 등을 역임했습니다.
  • 1308년(충선왕 1) 시독학사, 사림학사 등을 지냈습니다.
  • 충숙왕 즉위 후 1314년(충숙왕 1) 상의회의도감사, 검교첨의정승을 지냈고, 임해군(臨海君)에 봉해졌습니다.
  • 고려 성리학의 계보를 잇는 인물 중 하나로, 안향(安珦)의 문인 6군자 중 한 명입니다.
  • 아들 이제현은 고려말 성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.


이진은 고려 후기 정치, 사회, 학문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


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